책먹는 악어
https://dbd-random-perks-kr.netlify.app/ 데바데 랜덤퍽KR dbd-random-perks-kr.netlify.app 크롤러 서버를 적용한 DBD 랜덤퍽 사이트가 배포되었다. 데이터 관리의 편의성은 증가했지만, 매번 서버에서 데이터를 받아오는 과정에서 소요되는 시간이 너무 길었다.  기존 서버 응답시간은 7.04초로, 사용자 입장에서 불편할 정도로 너무 긴 시간이 소요되었다. ❓ 문제 원인먼저 개발되어 배포 중이던 프론트엔드의 수정을 최소화하기 위해, 프론트엔드에서 요구하는 데이터 형식에 최대한 맞추는 형식으로 백엔드 서버를 개발했다. 크롤링 된 데이터는 Playable, Item, Perk, Addon, Offering 5개의 테이블에 저장되고, 프론트엔드에서 요청시 나뉘..
이전 글에서 GitHub Actions를 활용한 CI를 다룬 데 이어, 이번에는 Elastic Beanstalk에 배포하는 방법과 내가 겪은 트러블슈팅을 공유하고자 한다. 작고 간단한 트러블슈팅은 이 포스트에 포함할 예정이며, 내용이 많고 복잡한 트러블슈팅은 별도의 포스트로 작성할 계획이다. (참고) 이전 글 : [GitHub Actions][Spring Boot] CI 시도하기 + build 실패 트러블슈팅 [GitHub Actions][Spring Boot] CI 시도하기 + build 실패 트러블슈팅👀 GitHub Actions를 이용한 CI + 문제 상황프로젝트의 루트에 .github 폴더를 만들고, 그 안에 workflows 폴더를 만든다.하위에 ci를 담당하는 ci.yml 파일을 만든다.그리..
HHH000489: No JTA platform available이 오류는 Hibernate가 JTA(Java Transaction API) 플랫폼을 찾지 못할 때 발생한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hibernate.transaction.jta.platform 설정을 추가해야 한다. application.ymlspring: jpa: properties: hibernate.transaction.jta.platform: org.hibernate.service.jta.JtaPlatform application.yml에 해당 부분을 추가하니 해결되었다.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베이스 비밀번호나 API 키와 같은 민감한 정보를 평문으로 저장하면, 누구나 접근할 수 있어 보안상 위험하다. GitHub의 공개 레포지토리에 업로드하기 위해 Jasypt를 활용하여 민감한 정보들을 암호화했는데, 그 과정을 작성해보고자 한다.0. Jasypt란?Jasypt(Java Simplified Encryption)는 Java 애플리케이션에서 간편하게 추가할 수 있는 암호화 라이브러리다. 특히, 애플리케이션의 설정 파일이나 환경 변수 등에 포함된 민감한 정보를 암호화하여 보호하는 데 유용하다.1. Jasypt 라이브러리 추가build.gradle에 jasypt 의존성을 추가한다. build.gradledependencies { // jasypt - 데이터 암호화 라이브러리 ..
1. 새 프로젝트 생성하기 인텔리제이의 상단 메뉴에서 파일 > 새로 만들기 > 프로젝트... 를 선택한다.  프로젝트의 이름과 경로를 지정해준다.언어는 Java, 빌드 시스템과 JDK 버전은 원하는 것으로 선택한다.  원하는 JDK 버전이 없다면 다운로드할 수 있다. 나는 빌드 시스템은 Gradle, JDK 버전은 17버전으로 선택했다. (본 글은 Gradle 기준으로 작성할 것이다.) 설정을 마치면 생성 버튼을 눌러 프로젝트를 생성한다. 2. 스프링 부트 플러그인과 의존성 추가하기Gradle 프로젝트가 생성되었다. 스프링 부트 프로젝트로 만들기 위해 의존성을 추가해야 한다. 공식 문서(링크)를 참고하여 스프링 부트 프로젝트로 만들어보자. build.gradle 파일을 열어 수정한다.plugins { ..
악어_
책먹는 악어